아메리카/멕시코
멕시코시티 도시 트렉킹 해요!
cjswotl
2018. 5. 27. 12:08
#멕시코 멕시코시티
정글 트렉킹 산악 트렉킹 등이 많지만 이번엔 도시 트렉킹을 하려고 해요. 멕시코시티는 아주 거대한 도시라 하루 한 곳씩 정해 트렉킹을 합니다. 일단 나초네에서 밥을 야무지게 먹고 오하까 치즈와 토마토 물을 챙겨 나의 트레이드 마크인 크록스 슬리퍼를 신고 나갑니다.
가는 길에 만난 꽃과 차플텍 공원을 지나갑니다. 지난번에 여기 앞의 의자에 앉아 책을 읽은 곳입니다. 난 이런 여유가 좋아요. 그런데 아래 날개 달린 동상을 아제르바이잔의 갤러리에서 봤다는 겁니다. 이게 길거리에 있다니 놀라웠어요.
넌 도대체 뭘 생각하고 있니?
아~옥따비오 빠스는 "멕시코는 죽음과 친하고 죽음으로 농담을 삼고 죽음을 애무하며 죽음과 같이 자고 죽음를 축하한다."고 말했다고 해요.
역시나 세계 유명 작가 작품이 많아요. 모네의 풍경도 보이고.
암튼 이 더운 나라에서 여긴 추워요. 에어컨을 빵빵하게 틀어서요.
돌아오는 길에 한글이 보여요.
천리만리 길을 뉘라서 찾아갈꼬~~
지도를 보니 구역으로 구분 되어 있어요. 육식 육상동물 해양어류 조류 초식동물로 한 방향으로 길 따라 가면 됩니다. 관리가 아주 잘 되어 있진 않지만 나무들 속에서 동물을 만나게 돼요. 가장 눈에 선 한 건 캥거루의 요염한 자태와 이를 지켜 보는 초등생의 열렬한 환호!!!!!
역시 어디가든 학생들은 비슷해 보여요 그런데 여긴 한 반에 선생님도 많고 보조로 따라온 학부형? 도우미도 많고. 교사 한 분이 멋쩍은지 날 보고 씩 웃어요. 나도 웃어줬죠.
커다란 새장도 들어갔다 오고 수족관도 보고...
한참을 돌다가 나오니 벌써 해질 무렵입니다. 하루 종일 걸어서 다리가 아파요. 곧장 숙소로 가서 어제 사둔 고기와 비빔밥을 먹고 잠깐 쉰가는 것이 잠들었어요. 거의 12시간 기절 상태.
사실 숙소 사람들이 새벽까지 고스톱 치는 소리에 깨기는 했어요.
날이 밝아 야무지게 밥을 먹고 국립인류학박물관에 가요. 상당한 양이라 해서 긴장이 됩니다.
가방을 맡기고 표를 사서 입장하니 11m 기둥 위에 84m 길이의 캐노피가 있어요. 세계에서 가장 크다고 해도 천막이 쳐져 인상적이지 않아요.
1층은 고대 멕시코 인류학 유물관으로 특정한 문명이나 지역에 관한 전시가 이루어지고 있어요.
플로레스 꽃의 방으로 가니 꽃 문신을 한 여인네가 앉아 있어요. 흔히 보던 꽃들을 문양으로 새겨 있어요. 특히 메리골드꽃 문양이 신기하고 많이 사용하는 꽃이었네요. 확대해 보면 다른 꽃들도 보일거에요.
뒤로 돌아가니 뜨랑떼롤꼬 시장의 모형이 있어요.
시신을 가운데 두고 정면엔 무서운 얼굴의 할매?가 지키고 주변엔 장식물이나 도자기들이 그 사람 생전의 위세를 알려줘요.
난 백골이 있는 무덤은 찍기 싫더라구요.
2층은 민속학 관련으로 의식주에 관련되어 있어요. 신기한 건 구슬과 팽이 문화가 있다는 사실이에요.
다시 날이 밝아 다시 도시 트렉킹을 합니다. 전에 포스트한 바스콘셀로스 도서관을 기억할 거라 생각해요.
레포르마 거리 중간에서 위쪽으로 올라가면됩니다. 로터리에 장식된 기념비가 유명하죠. 이 중 사람들의 관심을 끄는 것이 독립기념비지요. 스페인 식민통치에 맞선 영웅을 기리는 것으로 저 금색이 멕시코의 랜드마크가 되기도 해요.
레포르마 거리는 시위도 많이 하네요. 실종자 찾는 천막도 보이고. 무엇 때문에 화가 났을까요?
어쪘든 아침 햇살의 가로수는 또 다른 행복입니다.
토요일이라 그런지 도서관엔 행사도 많고 체험학습 일행도 줄 서고 중간 정원으로 가는 길목엔 군무 추는 학생들이 떼거지로 보입니다. 난 영문으로 나온 한국 월간지 발견했어요.
2층 쇼파에 앉아 글을 쓰고 있으니 슬슬 잠이 옵니다. 여러분도 낮잠 자러 도서관에 가보세요. 나도 슬슬 누워 책이나 보다가 잠들어 보렵니다.
팁: 여긴 피크닉 매트 가져와서 정원에 있는 잔디에 깔아 넣고 자기 참 좋아요. 부모와 자녀들이 와서 딩굴딩굴 잘 노네요.
팁2: 프라다 칼로가 유명합니다. 그래서 인류학박물관에서 본 책을 사진으로 남겨요.
정글 트렉킹 산악 트렉킹 등이 많지만 이번엔 도시 트렉킹을 하려고 해요. 멕시코시티는 아주 거대한 도시라 하루 한 곳씩 정해 트렉킹을 합니다. 일단 나초네에서 밥을 야무지게 먹고 오하까 치즈와 토마토 물을 챙겨 나의 트레이드 마크인 크록스 슬리퍼를 신고 나갑니다.
가는 길에 만난 꽃과 차플텍 공원을 지나갑니다. 지난번에 여기 앞의 의자에 앉아 책을 읽은 곳입니다. 난 이런 여유가 좋아요. 그런데 아래 날개 달린 동상을 아제르바이잔의 갤러리에서 봤다는 겁니다. 이게 길거리에 있다니 놀라웠어요.
넌 도대체 뭘 생각하고 있니?
아~옥따비오 빠스는 "멕시코는 죽음과 친하고 죽음으로 농담을 삼고 죽음을 애무하며 죽음과 같이 자고 죽음를 축하한다."고 말했다고 해요.
역시나 세계 유명 작가 작품이 많아요. 모네의 풍경도 보이고.
암튼 이 더운 나라에서 여긴 추워요. 에어컨을 빵빵하게 틀어서요.
돌아오는 길에 한글이 보여요.
천리만리 길을 뉘라서 찾아갈꼬~~
지도를 보니 구역으로 구분 되어 있어요. 육식 육상동물 해양어류 조류 초식동물로 한 방향으로 길 따라 가면 됩니다. 관리가 아주 잘 되어 있진 않지만 나무들 속에서 동물을 만나게 돼요. 가장 눈에 선 한 건 캥거루의 요염한 자태와 이를 지켜 보는 초등생의 열렬한 환호!!!!!
역시 어디가든 학생들은 비슷해 보여요 그런데 여긴 한 반에 선생님도 많고 보조로 따라온 학부형? 도우미도 많고. 교사 한 분이 멋쩍은지 날 보고 씩 웃어요. 나도 웃어줬죠.
커다란 새장도 들어갔다 오고 수족관도 보고...
한참을 돌다가 나오니 벌써 해질 무렵입니다. 하루 종일 걸어서 다리가 아파요. 곧장 숙소로 가서 어제 사둔 고기와 비빔밥을 먹고 잠깐 쉰가는 것이 잠들었어요. 거의 12시간 기절 상태.
사실 숙소 사람들이 새벽까지 고스톱 치는 소리에 깨기는 했어요.
날이 밝아 야무지게 밥을 먹고 국립인류학박물관에 가요. 상당한 양이라 해서 긴장이 됩니다.
가방을 맡기고 표를 사서 입장하니 11m 기둥 위에 84m 길이의 캐노피가 있어요. 세계에서 가장 크다고 해도 천막이 쳐져 인상적이지 않아요.
1층은 고대 멕시코 인류학 유물관으로 특정한 문명이나 지역에 관한 전시가 이루어지고 있어요.
플로레스 꽃의 방으로 가니 꽃 문신을 한 여인네가 앉아 있어요. 흔히 보던 꽃들을 문양으로 새겨 있어요. 특히 메리골드꽃 문양이 신기하고 많이 사용하는 꽃이었네요. 확대해 보면 다른 꽃들도 보일거에요.
뒤로 돌아가니 뜨랑떼롤꼬 시장의 모형이 있어요.
시신을 가운데 두고 정면엔 무서운 얼굴의 할매?가 지키고 주변엔 장식물이나 도자기들이 그 사람 생전의 위세를 알려줘요.
난 백골이 있는 무덤은 찍기 싫더라구요.
2층은 민속학 관련으로 의식주에 관련되어 있어요. 신기한 건 구슬과 팽이 문화가 있다는 사실이에요.
다시 날이 밝아 다시 도시 트렉킹을 합니다. 전에 포스트한 바스콘셀로스 도서관을 기억할 거라 생각해요.
레포르마 거리 중간에서 위쪽으로 올라가면됩니다. 로터리에 장식된 기념비가 유명하죠. 이 중 사람들의 관심을 끄는 것이 독립기념비지요. 스페인 식민통치에 맞선 영웅을 기리는 것으로 저 금색이 멕시코의 랜드마크가 되기도 해요.
레포르마 거리는 시위도 많이 하네요. 실종자 찾는 천막도 보이고. 무엇 때문에 화가 났을까요?
어쪘든 아침 햇살의 가로수는 또 다른 행복입니다.
토요일이라 그런지 도서관엔 행사도 많고 체험학습 일행도 줄 서고 중간 정원으로 가는 길목엔 군무 추는 학생들이 떼거지로 보입니다. 난 영문으로 나온 한국 월간지 발견했어요.
2층 쇼파에 앉아 글을 쓰고 있으니 슬슬 잠이 옵니다. 여러분도 낮잠 자러 도서관에 가보세요. 나도 슬슬 누워 책이나 보다가 잠들어 보렵니다.
팁: 여긴 피크닉 매트 가져와서 정원에 있는 잔디에 깔아 넣고 자기 참 좋아요. 부모와 자녀들이 와서 딩굴딩굴 잘 노네요.
팁2: 프라다 칼로가 유명합니다. 그래서 인류학박물관에서 본 책을 사진으로 남겨요.